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7)
면접 톺아보기 다음주에 면접을 앞두고 있다. 이미 복수의 기업에서 면접을 본 경험이 있고 한 군데에서는 최종까지 갔지만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면접을 준비하며 예상 질문에 답변을 준비하고 여러가지 면접 스킬을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본질을 파악하고 그것에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내 고민을 기록함과 동시에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글을 적는다. 면접이란 무엇일까? 단어의 뜻 자체는 얼굴 '면' + 접할 '접'으로 얼굴을 접한다. 즉, 서로 얼굴을 보고 만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왜 얼굴을 보고 만나고 싶어할까? 서류를 봤을 때 괜찮았기 때문이다. 서류에는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그리고 포트폴리오가 포함된다. 이것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우리와 잘 맞을 수 있겠다 싶을 때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면접에..
2023년 회고를 가장한 나의 장래희망 변천사(출생~고딩시절) 새해가 밝고 벌써 이틀이 지났다. 새해가 되자마자 앓아 누워서 첫 날은 집에서 잠만 잤다ㅠㅠㅠㅠ (여러분 감기 조심하세요,,) 이 글은 다음 날인 2일에 작성하고 있다. 공부를 하다가 문득 2023년 회고를 하고 싶어서 티스토리에 들어왔다. 2023년은 내 마지막 20대의 해이기도 했고 새로운 도전을 위해 준비했던 해였다. 현재 신입 개발자로 제대로 된 커리어를 시작하기 위해 취준을 하는 입장에 있다. 2023년 회고와 함께 그 동안 내가 살아온 삶과 앞으로의 삶을 가볍게 끄적이고자 한다. 출생~미취학아동 시절 95년 3월에 태어났다. 엄마가 나를 가졌을 때 고생을 많이 하셔서 2kg대의 미숙아로 태어났다고 한다. 그래서 엄마도 걱정을 많이 하셨다고 들었다. 하지만 맛난 거 많이 먹고 무럭무럭 커서 초등..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11월 초에 국비학원을 수료하고 취준에 열중하며 매일매일 자소서와 포폴만 정리하며 지냈다. 그러다 하루종일 공고만 찾아보고 자소서만 쓰는 날들이 지겨워졌다. 코드를 안 친 지 한 달이 지났을 무렵, 면접 본 회사에서 준 과제를 하며 오랜만에 코드를 작성했다. 역시 어떻게 구현할까 골똘히 고민하며 코드를 작성하는 게 재밌었다. 그래서 서류 지원도 계속 하면서 Spring Boot를 조금씩 공부하기로 했다. Spring Boot를 공부하려 김영한 님의 강의를 보면서 따라하던 첫 날!! 시작하자마자 오류가 났다.. 문제의 오류다. 오류만 보면 심장부터 벌렁거리는 버릇이 있어서 긴장했지만!! 찬찬히 살펴보니 Tomcat 서버의 기본 포트인 8080번을 이미 다른 데서 쓰고 있다는 뜻이었다. 검색을 해보니 808..
cmd 사용 중 Gradle 빌드 오류 톺아보기(스프링 부트와 자바의 버전 호환 오류) + 자바 환경 설정에 대한 고찰 cmd 사용 중 Gradle 빌드 오류 톺아보기 김영한 님의 Spring 강의를 보며 따라하던 중 또 난관에 닥쳤다. '빌드하고 실행하기' 파트를 따라하는데 인텔리제이에서는 빌드가 잘 되는데 cmd로 하면 오류가 발생하며 안되는 것이다ㅠㅠ 오류를 살펴보니 '사용하는 스프링 부트 버전과 자바 버전이 호환되지 않는다.'는 뜻이었다. No matching variant of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2.1 was found. The consumer was configured to find a library for use during runtime, compatible with Java 11, packaged as a jar, and its ..
Java 프로그램 실행 과정 톺아보기 오늘은 자바의 실행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Java는 운영체제로부터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언어이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무언가가 운영체제의 기능을 대신해야 한다. Java에서는 그 기능을 JVM(Java Virtual Machine)이라는 가상머신이 한다. 우선, 개발자가 Java 파일에 코드를 작성한다. 확장자는 .java가 될 것이다. 이 파일을 JDK(Java Development Kit)에 속해있는 Java 컴파일러인 javac가 .class라는 바이트 코드 파일로 변환한다. 이 과정을 'Compile'이라고 한다. Compile을 통해 바이트 코드로 변환된 .class 파일은 이제 JVM이 이해할 수 있는 코드가 되었다. JVM은 클래스 로더를 통해 컴파일 된 클래스 파일을 R..
JUnit 톺아보기 블로그에 게시하는 첫 게시글의 주제는 바로바로~~~~~~~ 'JUnit'이다. 저번 주에 면접을 본 회사에서 면접 말미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JUnit을 써봤냐고 물어보셨다. 써본 적 없다고 자신있게 대답을 하고!! 면접은 종료되었다,, 뭔가 어디선가 들어본 적은 있는 것 같은데 뭔지는 정확히 몰랐다. 면접관 님께서 테스트하는 도구라고 하셨는데 정확히 알고 싶어서 구글링과 유튜브를 동원해 쪼꼼 찾아보았다. JUnit은 Java의 대표적인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란다. (불과 1분 전에 유튜브를 보고 안 내용,,) 정처기 준비할 때 봤던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학원에서 프로젝트할 때의 테스트 도구는 'System.out.println();'밖에 없었는뎈ㅋㅋㅋㅋㅋ 이런 게 있었다니!! STS를 예로 들자면,..
안녕하세용 하이하이 첫 게시물이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