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계기
입사 후 처음으로 운영 서버에 수정한 파일을 반영할 기회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운영 중인 서버에 배포할 때는 .java 파일이 아닌 컴파일 된 형태의 .class 파일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작성한 .java 파일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실제 운영 중인 서버에 올라가는지 되짚어 보고자 이번 글을 작성한다.
2. .java 파일
확장자가 .java인 파일들은 개발자가 작성한 파일들이다. 자바 개발자가 코딩을 한다는 것은 대부분 이 확장자의 파일에서 이루어진다.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파일이라고 한다.
3. .class 파일
확장자가 .class인 파일들은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 된 파일들이다. .java 파일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파일이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컴퓨터 언어로 번역을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complie'이라고 한다.
또한, 자바는 운영체제와 독립적으로 떨어져서 JVM이라는 가상의 장치 위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자바 컴파일러를 통해 .java 파일이 .class 파일로 컴파일 되어 JVM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는 것이다.
4. 빌드
빌드란 여러 컴파일 된 파일들을 한 데 묶어 실행시킬 수 있는 상태(서버로 돌릴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jar나 .war 파일 등이 빌드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고, 빌드의 도구로는 Maven이나 Gradle을 들 수 있다. 숟가락만 뜨면 밥을 먹을 수 있도록 상차림을 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5. 배포
이렇게 압축한 하나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 놓고 서버를 실행시키는 것을 '배포'라고 한다.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정된 날짜 이후로 팝업을 해제하는 기능 구현 (0) | 2024.05.03 |
---|---|
운영 서버에는 왜 .class 파일을 반영해야할까? (0) | 2024.02.22 |
project clean과 tomcat clean의 차이 (0) | 2024.02.22 |
File 클래스의 length() 메소드 톺아보기 (0) | 2024.02.21 |
이클립스 디버깅 하는 법 (0) | 2024.02.01 |